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는 투자 수익에 대해 비과세 및 저율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절세 계좌입니다.
하지만 만기(최소 3년) 이후 계좌를 해지할 때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 ISA 가입조건, 가입대상 보러가기
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, 2025년 기준으로 ISA 계좌 수익금이 500만 원, 1,000만 원, 2,000만 원일 때 세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실제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정리했습니다.
ISA 계좌 해지 시 세금 구조 (2025년 기준)
ISA는 투자로 발생한 수익 중 일정 금액까지는 비과세, 그 초과분에 대해서만 9.9% 저율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. 세제 혜택 보러가기
ISA 계좌 내에서는 여러 금융상품의 수익과 손실을 **통산(합산)**해서 최종 순이익 기준으로 과세 여부가 결정됩니다.
구분 | 서민형 ISA | 일반형 ISA |
---|---|---|
비과세 한도 | 400만 원 | 200만 원 |
초과 수익 과세율 | 9.9% (지방세 포함) | 9.9% (지방세 포함) |
최소 유지 기간 | 3년 이상 | 3년 이상 |
즉, 서민형이라면 400만 원까지는 세금이 전혀 없고,
그 이후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9.9% 세율이 적용됩니다.
ISA 수익금별 세금 계산 예시
아래는 수익이 500만 원, 1,000만 원, 2,000만 원일 경우
서민형·일반형 ISA 각각에서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비교한 표입니다.
(모든 계산은 반올림 기준이며, 실제 세금은 원 단위 절사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)
※ 실제 원천징수 세액은 원 단위 절사 및 금융기관별 세부 정책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[서민형 ISA]
수익금 | 비과세 금액 | 과세 대상 금액 | 세금(9.9%) | 실수령 수익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500만 원 | 400만 원 | 100만 원 | 약 9,900원 | 499만 100원
1,000만 원 | 400만 원 | 600만 원 | 약 59,400원 | 940만 6천원
2,000만 원 | 400만 원 | 1,600만 원 | 약 158,400원| 1,841만 6천원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[일반형 ISA]
수익금 | 비과세 금액 | 과세 대상 금액 | 세금(9.9%) | 실수령 수익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500만 원 | 200만 원 | 300만 원 | 약 29,700원 | 470만 300원
1,000만 원 | 200만 원 | 800만 원 | 약 79,200원 | 920만 8천원
2,000만 원 | 200만 원 | 1,800만 원 | 약 178,200원| 1,821만 8천원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📊 요약
- 서민형 ISA는 수익이 높을수록 절세 효과가 더 큽니다.
- 2,000만 원 수익 시에도 세금이 16만 원 정도로 매우 낮습니다.
- 일반 과세 계좌였다면 약 **15.4% 세율(약 308만 원 세금)**이므로 절세 효과가 약 290만 원 이상 발생합니다.

ISA 계좌 세금 계산 공식
과세금액 = (총수익 – 비과세 한도) × 9.9%
예를 들어, 일반형 ISA에서 1,000만 원 수익이 났다면,
(1,000만 원 – 200만 원) × 9.9% = 79,200원
이 공식은 ISA 내 ETF, 펀드, 예적금 등 어떤 금융상품이든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ISA 해지 시 유의사항
- 의무 유지 기간은 3년 이상입니다.
3년 미만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이 취소되고, **일반 금융소득세율(15.4%)**이 적용됩니다. - 중도해지 전 주의
해지 전 반드시 보유 상품을 정리해야 하며,
중도해지 시 비과세 또는 감면받은 세액이 추징될 수 있습니다. ⛔ 3년 미만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이 취소되며, 일반 금융소득세율(15.4%)이 적용됩니다. 👉 ISA 절세 전략 5가지 실전 팁 보러가기 - 원금 일부 인출은 해지가 아닐 수 있음
납입한 원금 범위 내 인출은 해지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금융기관별 세부 약관을 확인하세요. - 해지 시 세금 자동 원천징수
금융기관이 세금을 원천징수 후 나머지 금액을 입금하므로 별도 신고는 필요 없습니다. - 재가입 제한
동일 과세연도 내에는 재가입이 불가능하며,
이전 연도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경우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 - 연금계좌 전환 시 세액공제 가능
만기된 ISA 잔액을 60일 이내에 연금계좌(IRP, 연금저축 등)로 이전하면
전환금액의 10% (최대 300만 원 한도)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ISA 세금 관련 Q&A
Q1. ISA 계좌를 2년 만에 해지하면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?
A. 3년 미만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이 취소되고, 일반 금융소득세율(15.4%)이 적용됩니다.
Q2. 해지 시 세금은 자동으로 빠져나가나요?
A. 네. 금융기관이 자동으로 원천징수 후 나머지 금액을 입금합니다. 별도 신고는 필요 없습니다.
Q3. ISA 해지 후 재가입이 가능한가요?
A. 가능합니다. 단, 동일 과세연도 내 재가입은 불가하며, 과거 금융소득종합과세자였던 경우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
결론
ISA 계좌는 수익이 커질수록 절세 효과가 강력해지는 구조입니다.
서민형은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, 일반형은 200만 원까지 비과세로,
해지 시에도 세금 부담이 매우 낮습니다.
또한 ISA 수익은 ISA 계좌 외 금융소득과 합산되지 않고,
9.9% 분리과세로 마무리되므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는 위험도 적습니다.
👉 따라서, 장기 투자 + 세금 절감을 목표로 한다면 ISA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필수 계좌입니다.
단, 제도는 세법 개정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항상 최신 기준(2025년 기준)을 확인하세요.